지난해 2월 스위스 제네바에서 열린 유엔 여성차별철폐위원회 회의에서 우리 정부 대표가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거론하자 당시 고노 일본 외무상이 발끈했습니다. <br /> <br />위안부 문제를 설명할 때 '성 노예'라는 단어를 사용한 것을 문제 삼은 것입니다. <br /> <br />[고노 다로 / 당시 일본 외무상 (2018년 2월 23일) : 한국 대표단이 '성노예' 표현을 사용한 것은 받아들일 수 없습니다. 매우 유감입니다.] <br /> <br />올해 일본 정부의 기본적인 외교 정책을 설명한 외교 청서입니다. <br /> <br />여기서도 일본은 유엔 등 국제사회에서 통용되는 '성 노예'라는 표현이 잘못됐다는 주장을 여러 차례 강조했습니다. <br /> <br />일본군 위안부를 '성 노예'로 부르는 것은 맞지 않기 때문에 이 단어를 써서는 안 된다는 것입니다. <br /> <br />그러면서 "한국도 이를 인정했다", 즉 성 노예가 아니기 때문에 이 단어를 써서는 안 된다는 점에 한국도 동조한 것처럼 적었습니다. <br /> <br />그 근거로 2015년 말 한일위안부 합의를 들었습니다. <br /> <br />이와 관련해 위안부 합의 과정을 검증한 테스크포스의 2017년 보고서를 보면 당시 일본은 '성 노예'라는 단어를 쓰지 않기를 희망하고 우리 정부는 공식 명칭을 '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문제'로 하기로 했다고 적혀 있습니다. <br /> <br />결국, 합의 당시 명칭을 '위안부 피해자'로 통일한 것을 두고 마치 우리가 '성 노예'는 아니라고 인정한 것처럼 일본이 호도한 셈입니다. <br /> <br />이와 관련해 우리 정부 관계자는 일본 정부의 얼토당토않은 주장이라며 일축했습니다. <br /> <br />그러면서 지난 4월 외교청서가 공개된 이후 정부는 주일본 한국 대사관을 통해 일본에 항의했다고 설명했습니다. <br /> <br />취재기자 : 황보연 <br />영상편집 : 사이토 신지로 <br />자막뉴스 : 육지혜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34_201911120902356003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